2018-11-03

[2018-10-20] NGC 2237 장미성운(Rosette Nebula)

2018-10-20 02:17(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unmodified), RainbowAstro RST-150H
Kowa LM100JC(100mm F/2.8) C-Mount lens, MGEN-II
9x10min, 6x5min @ ISO1600, F/3.9, DSS4.1.1, Photoshop CC 2019

모양 그대로 장미 성운입니다. 테스트 촬영에서는 흔적만 보일 정도로 어두운 대상이라 10분 노출로 장미 모양이 안 나올까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 장미라고 우길 정도는 된 거 같습니다.

지난 주에도 다녀왔던 조경철 천문대. 날은 포근했지만 월령이 안 좋아서 그런지 천문대는 한산하더군요. 달이 지려면 몇 시간은 기다려야 하기에 천천히 장비를 설치하고 달이 지기를 기다렸습니다.

달 때문에 그림자가 지는 천문대는 몇몇 분이 촬영을 하고 계실 뿐 아주 한산합니다.
Align도 끝내고 가이드 준비도 다 하고 나니 달이 지기전 까지 할일이 없네요. 달이 환한 천문대 이곳저곳을 어슬렁 어슬렁 돌아 다녔습니다.
반대편 큰 주차장에는 사람들이 좀 더 있을지 모르겠지만 저는 언제나 입구쪽의 풀밭에서 촬영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바람이 어마어마합니다...)

좀 처럼 갖기 힘든 여유를 이곳에 오면 느끼게 됩니다. 촬영이 시작되면 사실 할 게 없어요… 몇 시간 정도 촬영을 하니까 그 시간 동안은 꾸벅꾸벅 졸거나 멍하니 별을 보거나 합니다.
주인은 놀고 장비는 일하고… 주렁주렁… 케이블 좀 어떻게 해야겠네요.

눈이라도 오면 올 수 없는 곳이라 더 추워지기 전에 몇 번 더 올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2018-11-02

[2018-10-13] 말머리성운(Barnard 33)

2018-10-13 02:15(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unmodified), RainbowAstro RST-150H
Guided with Kowa LM100JC(100mm F/2.8) C-Mount lens, MGEN-II
5x8min, 8x4min @ ISO1600, F/3.9, DSS4.1.1, Photoshop CC 2019

오랜만에 화천의 광덕산에 다녀왔습니다. 지난달 까지는 사람들이 많아서 시끌시끌 했는데 이날은 날이 추워서 그런지 몇 분 안 계셔서 정말 조용히 별만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번에는 지난번에 시험 촬영만 했었던 ‘말머리성운(Horsehead nebula)’을 촬영해봤습니다. 하지만 소구경 망원경에 개조 안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8분 노출로 촬영해서는 어림도 없더군요. 화려한 성운이 나타나지를 않습니다. 간신히 말머리만 촬영된 것이 전부였습니다.

어떻게든 성운의 느낌을 살려보려고 했습니다만 생각대로 되지 않고 오히려 과하게 처리가 되어버렸습니다. Photoshop도 오래 사용해서 손에 익은 CS3를 버리고 새 버전을 구매했더니 기능이 정말 많아진 건 좋은데 구성이 좀 달라져서 적응 좀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이번 출사의 소득이라면 MGEN-II를 사용한 최초 가이드 촬영의 성공이었습니다. 가이드가 잘 되니까 별상도 동글동글하고 이쁘게 나왔습니다. 또, 이제는 손에 익어버린 RST-150H 적도의도 정말 신통방통한 녀석인 거 같습니다. 이제는 다른 적도의는 못 쓸 거 같습니다...

2018-10-13 00:55(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unmodified), RainbowAstro RST-150H
Guided with Kowa LM100JC(100mm F/2.8) C-Mount lens, MGEN-II
42x30sec, 12x60sec @ ISO1600, F/3.9, DSS4.1.1, Photoshop CC 2019

말머리성운을 촬영하기 전에 테스트 촬영으로 한 화각에 오리온대성운과 말머리성운을 넣어서 촬영해 봤습니다. 두 성운의 밝기차가 커서 말머리가 너무 묻혀 보이지만 일부러 강조하지는 않았습니다. 그 편이 더 자연스러운 거 같습니다. (개인 취향입니다 ^^;;;)

2018-11-01

[2018-09-08] 안드로메다은하(M31)

2018-09-08 01:08(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unmodified), RainbowAstro RST-150H
8x120sec @ ISO1600, F/3.9, DSS 4.1.1, Photoshop CS3

9월 8일에 오리온대성운을 촬영하기 전에 2분 노출로 8장을 촬영하여 합성한 M31 안드로메다은하입니다. 8월에 촬영했던 안드로메다 보다 노출을 더 길게 줬습니다만 큰 차이가 없네요..

취미가 사람을 공부하게 만듭니다... 공부해야겠어요...

[2018-09-08] 오리온대성운(M42)


2018-09-08 02:27(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unmodified), RainbowAstro RST-150H
58x30sec @ ISO3200, F/3.9
DSS 4.1.1, Photoshop CS3

도시에서 행성만 촬영하던 사람이 갑자기 Deep-sky 대상을 촬영하려니 모든 게 다 서툴고 어렵습니다. 다른 분들의 오리온대성운 작품을 보면 엄청 화려하고 멋지던데, 제가 촬영하니 소박하다 못해 허전하네요...

가이드없이 촬영하려다 보니 30초 노출로만 촬영을 했습니다. 노출을 더 줬어야 했는데 이미지 처리를 하면서 보니 노출이 정말 많이 부족하네요. 그래도 이제 슬슬 새로운 적도의인 RST-150H가 손에 익어 가고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노출을 늘리기 위해서 슬슬 가이드를 시도해 봐야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크롭하지 않은 원본입니다.

2018-10-30

[2018-08-18] 조경철 천문대와 밤하늘

지난주에 방문했던 조경철 천문대를 1주일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구름 예보가 있었는데도 그냥 무작정 달려왔습니다.

이날은 정말 개인적으로 머리가 아픈 일이 있었던 날이었는데요. 계획도 없이 도착한 이곳은 언제나 처럼 조용히 별빛을 쬘 수 있었습니다.

꼭 촬영을 하지 않아도 별쟁이 들에겐 별빛 쬐는 게 최고의 힐링이지요.
구름이 몰려오는 천문대는 조용하더군요. 이런날에 왜 왔는지 모르지만 먼저 와있던 후배녀석은 유성을 담으려고 끙끙거리고 있었습니다.
마차부 자리가 황소자리와 함께 동쪽 하늘에서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정말 곧 오리온이 보이겠습니다.

바람도 심하게 불어 무척 쌀쌀했습니다만 머리식히기에는 이만한 곳이 없습니다. 1시간 반을 달려온 곳이지만 30분 정도 머물다 후배를 뒤로하고 돌아왔습니다.
유일하게 한 장 담은 사진은 구름이 절반을 가렸지만 히아데스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 안드로메다 은하, 이중 성단 등등 꽤 많은 것을 보여주네요.

다음 월령에는 오리온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벌써 겨울이 다가온다는 얘기가 되는군요...

[2018-08-11] FSQ-85EDP First light and Andromeda Galaxy(M31)

2018-08-11 01:20(KST)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RainbowAstro RST-150H
60x30sec @ ISO3200, F/3.9
Photoshop CS3

FSQ-85EDP 경통 테스트를 위해 화천을 다녀왔습니다.

낮에는 구름이 가득했지만 밤늦게 갠다는 예보만 믿고 100km를 달려 도착한 조경철 천문대는 벌써 많은 분들이 와 계셨습니다. 하늘도 예보대로 구름이 완전히 걷히고 쏟아지는 별빛과 은하수… 그리고 수많은 유성을 볼 수 있는 밤하늘이었습니다.

조용히 자리를 잡고 아직도 손에 익지 않는 RST-150H를 Align 하느라 1시간여를 끙끙댄 끝에 드디어 정렬에 성공! 첫 GOTO 대상으로 M31 안드로메다 은하를 선택하였습니다. 단초점 망원경이라 시야가 넓긴 하지만 시야 가운데에 딱 넣어주네요.

카메라로 촬영은 처음이라 가이드 없이 30초 노출로 30분 가량을 촬영했습니다. 완성된 결과는 예상대로 허접했지만 이렇게 촬영돼서 나오는 것도 저는 마냥 신기하네요.

내친김에 고도가 제법 올라온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M45)도 촬영해 봤습니다.
2018-08-11 02:00(KST)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RainbowAstro RST-150H
25x30sec @ ISO3200, F/3.9
Photoshop CS3

음... 결과는 뭐... ^^;;

아직 뭐가 뭔지 모르는 첫 Deepsky 대상 촬영이라 이제 부터 천천히 공부도 하고 준비해야겠습니다. 노출을 늘리려면 가이드도 필수겠네요.
 도심은 열대야로 몸살을 앓고있지만 1000m 산 정상은 서늘합니다.
은하수는 여름이 가장 볼 만하죠. 이 은하수를 보러 일반인 분들도 많이 오시는 거 같았습니다. 그 바람에 좀 번잡하기는 했지만 벌써 동쪽에서는 황소자리가 올라오는 것으로 보아 곧 오리온을 볼 수 있겠습니다. 세월은 언제나 정확하네요...

2018-08-26

[2018년 6월 18일] 월령 4.7일의 달

2018-06-18 22:01(KST)
Location : Yeoksam-dong, Gangnam-gu, Seoul, South Korea
Seeing : 3/10, Transparency : 5/10
Telescope : Vixen VMC110L (D=110mm FL=1035mm F/9.4)
Mount : Vixen PortaⅡ Alt-Az Mount
Camera : Sony A7M3
Frames : 1 x 1/50sec @ ISO1250 (WB: Daylight)
Software : Photoshop CS3
Moon Info. : Phase: 29.3%, Alt: 21° Az: 270°

6월에 촬영한 달입니다만 뒤늦게 올려봅니다.

소니A7M3로 두 번째 촬영한 달입니다. 고도가 낮아서 일렁거림이 심했지만 소니 카메라는 초점을 맞추기 편리한 기능들이 있어서 좋더군요.
도심의 광해에 묻히기 전에 아슬아슬하게 촬영을 했습니다. 고도가 좀 높을 때 촬영을 해야지 도심에서 낮은 고도는 너무 시상이 안좋습니다.
장초점이지만 작고 컴팩트해서 주로 달 촬영에 사용하고 있는 Vixen VMC110L 경통과 포르타 경위대입니다. 저렇게 세트로 들고 다녀도 부담스럽지 않을 만큼 가벼운게 최고의 장점이죠. 광학 성능은… 음… (^^;;;)

2018-06-25

[2018년 6월 16일] 조경철 천문대와 안드로메다 은하

처음으로 화천 광덕산에 있는 조경철 천문대를 다녀왔습니다. 홍천보다 가까운 거리지만 꼬불꼬불한 산길로 한 참 가야 하는 곳에 있어서 시간은 홍천보다 더 걸리네요.

천문대로 올라가는 길은 펜션과 음식점이 즐비해서 유원지 느낌이었고 산 정상의 천문대에 도착해 보니 주위에 대도시가 없는데도 꽤 밝은 마을들이 있어서 광해가 제법 심했습니다.

처음 온 곳이라 어디서 촬영을 할까 싶어 천문대 주위를 둘러보았는데요. 기상 레이더가 있는 남쪽은 불이 너무 밝은 데다 별을 보러 오신 수많은 분들이 계셨습니다. 레이져를 쏘며 별을 보는 분들이 많아서 이쪽에서 촬영은 안 되겠다 싶더군요.

천문대 북쪽 주차장은 바람이 좀 심하게 불었지만, 북쪽과 동쪽이 뚫려있어서 다행히 촬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자리를 정하고 주섬주섬 장비를 설치하면서 하늘을 올려다보니 아까는 희미하게 보이던 은하수가 이제는 선명하게 동에서 서를 가르고 있어서 장비 설치는 까맣게 잊고 멍하니 은하수를 바라봤습니다. 이렇게 선명한 은하수가 얼마 만인지...
지평선 부근은 너무 밝아 포기해야 했지만, 신기하게도 시야가 높은 곳은 정말 별이 쏟아지더군요. GPS상으로는 고도가 1037m로 나오던데 고도가 높아서 별이 더 잘 보이는 걸까요?
이날은 매번 테스트 하지 못했던 RST-150H 적도의를 드디어 제대로 사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Align은 여전히 익숙하지 않아서 쉽지가 않네요. 컨트롤러의 메뉴와 안내가 직관적이지 않아서 애를 먹었고, 남쪽과 서쪽의 별은 시야가 가려서 선택할 수가 없어 제대로 된 Align이라고 할 수는 없었지만 20여 분(EM-11이면 5분도 안 걸릴 일인데...)을 끙끙거린 끝에 6 Star Align을 무사히 마치고 백조자리 Albireo 주변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2018-06-16 01:08 (KST)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Samyang 135mm F/2.0 ED UMC, 
Canon EOS 6D Mark II, RST-150H
Kenko PRO1D Pro Softon-A(W)
38 x 10sec @ ISO6400, F/4.0
DSS4.1.1, Photoshop CS3


테스트 촬영에서 10초 한 장으로 NGC7000 북아메리카 성운이 보이는 거 같아 열심히 촬영을 했습니다만... 역시 10초로는 어림도 없네요. 형태만 살짝 보이는 정도...

게다가 기대한  RST-150H 적도의는 6 Star Align을 했음에도 제대로 된 Align star를 선택하지 못해서인지 GOTO를 해보면 간신히 카메라 시야에 대상이 들어오는 수준이라 반쪽짜리 테스트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번에도 제대로 된 테스트는 다음 기회로...

매번 준비 없이 촬영을 하면 늘 결과가 안 좋은 걸 알기에 철저히 준비하려고 했지만 이번에도 허겁지겁 떠난 촬영이라 제대로 건진 게 없네요... 테스트도 꽝, 결과물도 꽝.......

슬슬 피로가 몰려왔지만 그냥 돌아오기가 아까워 마지막으로 M31 안드로메다 은하를 담아봤습니다.
2018-06-16 01:25 (KST)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Samyang 135mm F/2.0 ED UMC, 
Canon EOS 6D Mark II, RST-150H
73 x 30sec @ ISO3200, F/4.0
DSS4.1.1, Photoshop CS3

안드로메다 은하는 생각보다 많은 게 보이네요!!

1분 정도 노출을 줬으면 어땠을까 싶지만 암흑대도 살짝 보이고 보일 건 다 보입니다.(^^;;) 생애 처음으로 촬영해 본 M31이라 허접하지만 그래도 애착이 가네요.
촬영보다는 별빛을 쐬는 것이 목적인 관측회라 후배나 저나 그냥 별이 쏟아지는 것에 만족하는 편입니다. 이번에 결과가 안 좋으면 다음에 또 시도하면 되니까요!
차도 정말 많이 들락거리고 사람들도 복작복작한 천문대였지만 굉장히 즐거웠습니다. 별은 원 없이 봤으니까요!

어떻게 집에 돌아왔는지 가물가물할 정도로 피곤에 쩔어 돌아왔지만 벌써 그곳에 다시 가고 싶습니다...

2018-06-03

LonelySpeck의 SharpStar2

망원경이나 카메라 렌즈를 사용해서 성야(星野) 사진이나 일주(一周) 사진을 찍어 본 적이 있는 분들은 별에 초점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는 걸 아실 겁니다.

그나마 아래 사진의 렌즈처럼 무한대 표시(∞)가 있는 렌즈라면 무한대 표시 부근에서 초점을 찾으면 되지만 표시가 없는 렌즈는 초점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워낙 미세한 차이로 초점이 결정되기 때문에 촬영을 마치고 돌아와서 초점이 하나도 맞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오리온자리를 촬영한 위 사진의 경우를 보면 현장에서는 별에 초점이 잘 맞은 줄 알았습니다만 돌아와서 확인해 보니 지상의 물체에 초점이 맞은 경우입니다.

이렇게 초점이 안 맞으면 하룻밤을 투자한 사진을 모두 버려야 하니 초점에 늘 신경을 많이 쓸 수밖에 없습니다.

사실 이런 초점에 대한 고민은 2005년도에 러시아의 Bahtinov란 분이 특별한 회절상을 만들어 내는 Mask를 고안하면서 해결이 되었죠. 바로 Bahtinov Mask입니다. 너무 유명한 Mask라 따로 설명을 안 하겠습니다만 이 Mask를 사용하면 초점을 맞추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행성을 주로 촬영했기 때문에 이 Bahtinov Mask를 사용할 일이 없었습니다. 행성과 별은 초점이 다르기 때문이죠.

말 나온 김에 왜 초점이 다른지 잠깐 상식 차원에서 알아보자면...

행성은 별과 달리 면광원(面光源)입니다. 별은 점광원(點光源)이죠. 면적이 없는 무한히 작은 점입니다. 밤하늘에 있는 별의 크기가 달라 보이는 것은 밝기 차이 때문이지 크기 때문은 아닙니다. 모든 별(태양은 빼고요)은 워낙 멀리 있어서 모두 점입니다. 하지만 행성은 비록 눈으로 보기에는 다른 별과 마찬가지로 보일지 모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면적(面積)을 가진 원으로 보입니다. 즉, 별에 초점을 맞추고 행성을 보면 초점이 맞지 않습니다. 그 반대도 그렇고요.

이런 이유로 행성과 별은 초점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사실 둘 다 어렵습니다)

그동안은 도심에서 행성만 촬영하면서 지냈지만, 최근엔 시골로 관측지를 찾아다니며 자연을 벗 삼아 성야 사진 찍는 재미에 빠지기 시작해서 초점에 스트레스 받지 않으려면 Bahtinov mask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기성품을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Aliexpress에서 찾아보니 아크릴과 금속으로 만든 다양한 전통적인 Bahtinov Mask를 판매하더군요. 그중에서 금속으로 된 제품을 하나 구매해봤습니다.
렌즈 앞에 거는 방식으로 다양한 구경의 렌즈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 제품입니다. 특별할 건 없고 가격도 저렴하니 회절상만 잘 나와 준다면 문제없겠다 싶던 중 우연히 SharpStar라는 제품을 알게 되었습니다. 카메라 용 사각 필터 형식으로 필터 홀더에 장착해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제품으로 편리해 보였습니다. 바로 100x100mm 크기로 주문을 했습니다.
실제 제품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아크릴 판에 레이져로 패턴을 새긴 게 전부이지만 전용 필터 케이스와 함께 사용하면 휴대가 간편하고 고급스럽습니다.
이 SharpStar를 지난번 양평에서의 촬영 때 Samyang 135mm F/2.0 렌즈에 붙여서 테스트했었는데요. 아쉽게도 캐논 600D의 라이브 뷰 상에서는 ISO 6400으로도 알타이르(Altair)의 회절상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5초 노출로 촬영한 이미지의 회절상을 확인하면서 초점을 맞췄는데도 생각보다 쉽고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위 사진은 5초 노출이라 회절상이 선명하게 잘 보입니다. 가운데 있는 수직 라인이 초점 면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데요 정 중앙에 올 때까지 조절을 하면 됩니다. 간단합니다. (실제 사용에서는 밝은 별을 시야의 중앙에 위치하고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SharpStar로 초점을 맞추고 안타레스(Antares) 주변을 60초 노출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이 정도면 초점이 잘 맞은 거 같지 않나요?

SharpStar는 사각 필터 형식이라 필터 홀더가 있어야 하고, 렌즈 구경(口徑)에 맞는 필터 어댑터가 구경 별로 여러 개 있지 않다면 사용하기가 불편할 수 있겠습니다. Aliexpress에서 판매하는 범용적인 Mask가 더 편할 수도 있지요.
성능은 두 개를 비교해 보지 않아서 어느 제품이 회절상이 더 선명하고 보기 좋은지는 알 수 없지만, 일반 사각 필터와 함께 보관할 수 있고 필터 홀더만 있으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SharpStar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2018-05-31

[2018년 5월 21일] 소니 A7III 카메라와 달 촬영

2018-05-21 21:36 (KST)
Yeoksam-dong, Gangnam-gu, Seoul, South Korea
Seeing : 4/10, Transparency : 6/10
Telescope : Vixen VMC110L (D=110mm FL=1035mm F/9.4)
Mount : Vixen PortaⅡ Alt-Az Mount
Camera : Sony A7M3
Frames : 1 x 1/250sec @ ISO1250 (WB: Daylight)
Software : Photoshop CS3
Moon Info. : Age: 6.6 days, Phase: 42.6%, Alt: 45.5° Az: 250.5°

정말 오랜만에 달을 촬영했습니다. 이게 몇 년 만인지...

퇴근하면서 올려다본 달은 벌써 서쪽으로 기울고 있었기 때문에 서둘러서 옥상으로 망원경을 들고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경통 냉각 때문에 망원경을 설치해 놓고 옥상에서 30분 정도를 어슬렁거려야 했습니다.
이번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는 Sony α7 III(A7M3/A7III, 모델명: ILCE-7M3, 이하 A7M3)입니다.
올해 2월에 출시된 따끈따끈한 새로운 모델로 저도 구매한 지 얼마 안 돼서 아직 사용법을 잘 모릅니다.
(뭔가 제대로 하는 게 없는 블로그 주인입니다. 아하하...^^;;;)
그리고 릴리즈(Camera Release)도 아직 준비가 안돼서 스마트폰으로 연결하여 촬영 하는 등 누가 봐도 달(月, Moon)은 뒷전이고 카메라의 테스트가 목적인 촬영이었습니다!!

풀 프레임(Full Frame) 카메라가 없던 제가 DSLR도 아닌 미러리스(Mirrorless) 카메라를 선택한 이유는 정말 단순하게도 디자인이었습니다. A7M3는 필름 카메라와 거의 비슷한 크기와 외형이면서 소니 특유의 감성이 묻어 나는 디자인으로 카메라 자체의 성능이나 화려한 스펙보다 저에겐 더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었습니다.
(캬...) 정말 이쁘지 않습니까???

문제는 이렇게 디자인만으로 카메라를 고르고 보니 소니 A7 계열 카메라 모델들(A7S, A7R, A7)의 Star Eater 이슈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는 걸 나중에 알았습니다. (설마 아직도 해결 안 됐을 줄은...) 이 부분은 직접 성야(星野) 사진을 찍어서 확인해야겠지만, 설령 별을 먹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해도 구매를 후회하지 않을 거 같습니다. 그만큼 개인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카메라이니까요.

성야 사진은 찍어보지 않았지만 이날 달을 촬영하면서 캐논 600D(이하 600D)와 비교해서 초점 잡기가 훨씬 수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초점 확대 기능은 600D도 있는 기능이지만 수동 렌즈를 위한 피킹(Peaking) 기능이 있어서 초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anon도 Magic Lantern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지만 논외로 하겠습니다)
초점이 맞은 부분은 위 사진처럼 테두리가 칠해지기 때문에 달처럼 애매한 대상도 초점을 정하기가 훨씬 쉬웠습니다. 테두리가 많이 생기는 위치를 찾으면 되니까요. 그리고 무음(無音) 셔터 기능이 있어서 촬영 시에 셔터의 진동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망원경과 같이 확대율이 높은 망원렌즈를 사용하면서도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 좋은 기능들을 달 사진 촬영에 활용하니까 좀 더 편하게 촬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기능들이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주는 것은 아니지만 촬영을 편하게 해 주는군요.

어쩌다 보니 장점만 얘기했지만, 단점도 물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그냥 칭찬만 하는 것으로... ^^;;

몇 년 만에 달을 촬영하려니 정신이 없어서 혼자 우왕좌왕했지만 새 카메라로 달을 촬영하는 것은 재밌는 경험이었습니다. 이제 달도 좀 자주 보고 그래야겠습니다.

2018-05-29

[2018년 5월 18일] 양평의 전갈자리와 안타레스

전갈자리 안타레스 주변
2018-05-18 23:03 (KST) 
Yangpyeong-gun, Gyeonggi-do, South Korea
Samyang 135mm F/2.0 ED UMC, 
Canon EOS 600D, Vixen Polarie
Kenko PRO1D Pro Softon-A(W)
1 x 60sec @ ISO800, F/4.0
Photoshop CS3


이틀째 계속 내리던 비가 그치고 구름이 가득한 하늘이었지만 밤부터 갠다는 기상청의 일기 예보만 믿고 퇴근후에 양평으로 출발을 했습니다.

교통 체증이 심해서 서울을 빠져나가는데 꽤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했지만 외곽으로 빠져 나와서 하늘을 올려다 보니 예보대로 정말 구름이 걷히고 있었습니다. 비가 오면서 먼지도 씻어 갔는지 투명도는 정말 좋더군요. 오랜만에 마음도 후련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꼬불꼬불 산길을 지나 관측지에 도착한 시간은 거의 10시가 다 된 늦은 시간이었습니다. 오랜만에 월령도 좋고 날도 맑아서 먼저 오신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고라니 말고는 아무도 없더군요.

비 온 후라 수증기가 많아서 살짝 연무가 낀 느낌이었지만 별은 쏟아질 정도로 많이 보였습니다!!
여기까지 고생해서 온 보람이 있네요 ㅠㅠ

이번 관측은 몇 달 전에 새로들인 RST-150H라는 하모닉 드라이브 적도의를 테스트해 볼 생각이었습니다.
몇 주 전 홍천에서 테스트해 보려고 했었는데 구름이 몰려와서 포기했었던 적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번에는 12V 배터리를 안 가지고 왔더라고요... (망했습니다 ㅠㅠ)
테스트는 이번에도 다음 기회로...

이상하게 저랑은 인연이 없는 적도의지만 다행히 빅센의 폴라리에(Polarie)도 함께 가져왔기에 떠오르고 있는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주변을 촬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촬영 이미지와 Sky Chart 합성

노출 1분 한 장의 이미지라 노이즈(Noise)가 많지만 안타레스 주변에 있는 구상 성단인 M4 (Messier 4)도 보이는군요. 사실 M4는 구상 성단이라기에는 좀 엉성한 편인데요. 그래도 5.4등급으로 유명한 구상 성단인 M13보다도 밝습니다. 하지만 막상 서울에서는 고도가 낮아 광해에 묻혀서 실제로 보기가 꽤 까다롭습니다. 이 정도라도 보여 주는 게 다행인 거죠.
결과를 보니 안타레스 주변을 좀 더 많이 찍어서 합성을 해야 했지만, 현장에서는 떠오르는 백조자리에 눈이 멀어 거의 한 시간 동안 열심히 은하수를 날아가는 백조를 찍었답니다.
2018-05-18 23:54(KST) 
Yangpyeong-gun, Gyeonggi-do, South Korea
Canon EF 28mm F/1.8 USM, Canon EOS 600D, Vixen Polarie
80 x 30sec @ ISO1600, F/4.0
DeepSkyStacker 4.1.1, Photoshop CS3


와!!! 은하수가 어딨죠???

아래쪽으로 은하수가 있다고 말하지 않으면 알아보기 힘든 그런 사진이 되어버렸습니다. 뭔가 잘못했으니 이렇게 나왔겠지만, 그 뭔가를 아직 모르겠습니다...
노출이나 조리개 아니면 ISO 등등... 문제의 원인이 너무 다양하지만 좀 더 신중하게 촬영을 하고 결과를 확인하면서 진행해야겠습니다.

자정이 넘어가니 은하수를 배경으로 점프 샷을 찍는 분들이 잔뜩 생겼습니다. 별만 찍는 게 아니라 자신을 함께 담는 취미도 있다는 걸 이번에 알았습니다.

분위기가 캠핑장으로 변해가고 있는 느낌이라 서둘러서 목성과 전갈자리를 함께 담아보았습니다.
2018-05-19 00:51(KST) 
Yangpyeong-gun, Gyeonggi-do, South Korea
Canon EF 28mm F/1.8 USM, Canon EOS 600D, Vixen Polarie
1 x 30sec @ ISO1600, F/4.0
Photoshop CS3


목성이 정말 밝았습니다만 전갈자리 주변의 메시에 대상도 희미하지만 잘 담겼습니다. 구도가 많이 엉성하지만 이번엔 은하수도 좌측 하단에서 꽤 잘 보입니다. 광시야는 또 이런 맛이 있네요.

은하수를 날아가는 백조가 아니라 전갈자리나 여러 장 찍을 걸 그랬습니다...

늘 아쉽기만 한 촬영이었지만 사진이 잘 나오면 좋고 안 나오면 또 별빛을 쐐서 좋은...
이래서 취미가 좋은 거겠죠? 잘 안됐으면 다음에 또 도전하면 되니까요.

월령만 좋아지면 또 나오고 싶어집니다. 아직도 쏟아지는 별들이 눈에 선하네요...

2018-05-22

[2018년 2월 16일] 철원의 밤하늘

몇 달 지난 일입니다만 이제서야 시간을 내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2018년 2월 16일은 정말 추운 설날이었습니다.
모두들 가족과 함께 명절을 보내고 있을 시간에 저는 후배랑 둘이 날이 맑다는 이유 하나로 철원으로 별을 보러 갔습니다.

원래 이 후배 녀석과 하는 일은 항상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벌이는 일들이 많은지라 이번에도 촬영 대상이나 준비 같은 건 하지도 않은 채 추위와 결로(結露)에 대한 준비만 간단히 해서 철원의 노동당사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는 초저녁에 각자 길을 나섰습니다.

설 연휴라 차가 많을까 걱정했는데 모두 명절이라 서울을 떠났는지 텅빈 서울을 벗어나 철원으로 가는 길은 한산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가는 동안 차를 잠깐 세우고 하늘을 올려다 보니 말 그대로 별이 쏟아지더군요.
얼굴이 금방이라도 얼듯이 얼얼 할 정도로 추웠지만 쏟아지는 별을 보니 추위는 잊은채 신이나서 노동당사로 달려갔습니다.

한 참을 더 달려서 노동당사에 도착해 보니 주차장에 가로등이 생겼더군요... (헐... ㅠㅠ)
예전엔 주차장이 어두워서 별을 보거나 촬영하기 좋았었는데 이제는 가로등이 너무 밝아서 별을 보기는 힘들겠습니다.

어쩔 수 없어 일단 그리 멀지 않은 수피령으로 이동해 보기로 했습니다.

다시 꼬불꼬불 산길을 달려 수피령에 도착해 보니 아직 눈이 수북하고 주변이 온통 얼음이었지만 다행히 별을 보기에는 충분했습니다. 조심조심 걸어 다니면 되니까요.
심한 바람에 정말 춥고 주변도 시야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지만 이렇게 많은 별을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했습니다.
원래는 10mm 광시야 렌즈로 풍경과 별을 함께 담을 생각이었지만 주변이 온통 나무여서 일주 사진을 찍어 보기로 했습니다.  벌써 밤 11시가 다 되어 오리온이 지고 있었고 곧 나무에 가리기 직전이라 서둘러 오리온 자리를 중심으로 일주 사진을 찍었습니다.
2018-02-16 22:53 (KST)
Sangseo-myeon,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Canon EOS 600D + Samyang 10mm F/2.8
142 x 30sec @ ISO1600, F/4.0
DeepSkyStacker 3.3.2, Photoshop CS3

음... 역시 밋밋하군요... 크롭 바디라 광시야도 그리 넓어 보이지 않는 효과까지...

아쉬운 마음에 북극성 주변 일주도 짧게 찍어 봤습니다.
2018-02-17 00:09 (KST)
Sangseo-myeon,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Canon EOS 600D + Samyang 10mm F/2.8
68 x 30sec @ ISO1600, F/4.0
DeepSkyStacker 3.3.2, Photoshop CS3

이것도 밋밋... 북극성 일주는 시간이 길어야 볼만 한데... 30분 정도로는 어림도 없네요. 
최소 2시간은 찍어줘야 할 거 같습니다.

사실 날씨가 맑아서 별빛 쐬러 온거지 딱히 뭘 찍으려고 계획하고 온게 아니라서 더 찍을 만한 것도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주변 시야도 너무 가려서 더 볼 수 있는 것도 없고요.

벌써 철수하자니 아깝고... 철원까지 왔는데 노동당사는 담아가야지 싶어서 다시 노동당사로 돌아왔습니다. (노동당사 주변은 대남 방송이 아주 또렷이 들리더군요. 이 동네 사시는 분들은 밤에 시끄럽겠습니다.)

노동당사는 자정이 넘어서 그런지 조명을 껐더군요. 다행이다 싶어서 중앙에서 노동당사를 배경으로 남들 다 찍어보는 일주 사진을 찍었습니다. 
2018-02-17 01:44 (KST)
Cheorwon-eup, Cheorwon-gun, Gangwon-do, South Korea
Canon EOS 600D + Samyang 10mm F/2.8
60 x 30sec @ ISO1600, F/4.0
DeepSkyStacker 3.3.2, Photoshop CS3

조명도 꺼졌는데 노동당사가 꽤 밝죠? 촬영 중간에 택시가 쌍라이트를 켜고 지나가는 바람에... 그것도 왕복으로... 별이 안찍히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다행히 빠진거 없이 다 나왔네요.

한겨울이라 바람도 심하고 엄청 추웠는데다 건질만한 사진도 없는 이상한 출사였습니다만, 바쁘다는 핑계로 정말 오래도록 손대지 않았던 별 보는 일을 다시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예전 처럼 자주보거나 행성을 촬영할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주사진이라도 아니면 그냥 맨눈으로 별을 보더라도 자주 별 빛을 쐬어줘야 되겠습니다.